글로벌펀드는 저소득 및 중간 소득 100여개의 국가에 총 40억 달러(2020년 3월-2021년 10월)를 지원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글로벌펀드(Global Fund to Fight AIDS, Tuberculosis and Malaria, 이하 글로벌펀드)는 코로나19와 싸우고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프로그램을 적용/운영 시키기 위해 100개 이상의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 총 40억 달러를 지원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지원금은 이 외에도 시급한 취약한 보건 의료 시스템 강화에도 사용될 예정입니다. 이 기금으로 글로벌펀드가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국가에 연간 제공하는 42억 달러 외에 추가로 지급된 지원금 입니다. 


글로벌펀드는 지난 2021년 3월 이후로, 미국,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국가들의 주도로 마련된 코로나19 대응 메카니즘(C19RM, COVID-19 Response Mechanism) 기금 명목으로 저소득 및 중소득국가에 30억 달러를 지원한 바 있습니다. 


“글로벌펀드가 최근에 발간한 2021 결과보고서는 코로나19가 그동안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프로그램에 얼마나 심각한 악영향을 미쳤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펀드 파트너십이 이 전염병들 전반에 걸쳐 취한 신속하고 단호한 조치가 없었다면 현재 상황은 훨씬 더 나빴을 것입니다." (피터샌즈 글로벌펀드 사무총장) 

[원문] https://www.theglobalfund.org/en/news/2021/2021-10-08-global-fund-crosses-usd4-billion-mark-in-funding-to-support-countries-in-the-fight-against-covid-19/


[출처] 국제보건애드보커시 블로그(https://blog.naver.com/koreanagh/222534961354)


◎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프로그램에 대한 코로나19의 치명적인 영향


오늘 글로벌펀드(GlobalFund)가 발표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은 2020년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일부 진전은 있었지만 주요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프로그램 결과는 글로벌펀드 역사상 처음으로 하락했습니다.


"창립 20주년을 기념하하여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의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에 있어 글로벌펀드가 달성한 진전과 그를 가능하게 한 용기와 회복력의 놀라운 이야기들에 초점을 두어 보고서를 발간하고자 희망했습니다." 피터샌즈 글로벌펀드 사무총장은 언급하였습니다. “그러나 2020년도 조사 결과는 다른 초점을 강요합니다. 조사 결과들은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할까 두려워했던 일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결핵(TB)>> 결과 보고서는 코로나19 전염병이 전 세계 결핵 퇴치에 미친 치명적인 영향을 보여줍니다. 2020년에 글로벌펀드가 투자하는 국가에서 약물 내성 결핵 치료를 받는 사람들의 수는 19%나 감소했으며, 광범위 약물 내성 결핵 치료를 받는 사람들은 37%가 더 크게 감소했습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와 결핵 치료를 받은 에이즈 양성 결핵 환자의 수는 16% 감소했습니다.


<<에이즈(HIV)>> 보고서는 또한 이미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받은 주요 및 취약 인구를 위한 에이즈 검사 및 예방 서비스의 상당한 감소를 강조합니다. 2019년에 비해 에이즈 예방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받은 사람은 11% 감소한 반면 예방 서비스를 받은 젊은이는 12% 감소했습니다. 아기에게 에이즈를 전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약을 복용하는 산모는 4.5% 감소했습니다. 에이즈 검사는 22% 감소하여 대부분의 국가에서 에이즈 치료 시작을 지연시켰습니다.


<<말라리아(Malaria)>>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개입은 다른 두 질병보다 코로나19의 영향을 덜 받은 것으로 보입니다. 적응 조치와 지역 사회 보건 종사자의 근면 및 혁신 덕분에 예방 활동은 2019년에 비해 안정적이거나 증가했습니다. 모기장 배포 수는 17% 증가, 실내 잔류 살포로 덮인 구조물은 3% 증가했습니다. 2020년에는 1,150만 명의 임산부가 예방 치료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테스트한 말라리아 의심 사례는 4.3% 감소했고 질병에 대한 진행도 정체되었습니다.


코로나19에 대한 글로벌펀드 파트너십의 신속하고 단호한 대응은 더 나쁜 결과를 예방했습니다. 2020년에 글로벌펀드는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계속하고 보건·의료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 42억 달러를 지출했으며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9억 8천만 달러를 추가로 승인했습니다. 2021년 8월 현재 글로벌펀드는 인명 구조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프로그램에 적응하고, 중요한 검사, 치료 및 의료 용품을 제공하고, 최전선 의료 종사자를 보호하고 취약한 사람들을 긴급하게 지원하기 위해 100개 이상의 국가에 총 33억 달러를 승인했습니다. 기부자, 정부, 지역 사회 및 보건·의료 파트너의 신속한 조치 및 자금 지원과 함께 이러한 투자는 코로나19가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고 세 가지 질병과의 싸움에서 진전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 글로벌펀드가 투자하는 국가들의 2020년 (에이즈,결핵,말라리아 및 코로나19 대응 관련) 주요 결과 >>

• 2020년에 2,190만 명이 생명을 구하는 HIV에 대한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았으며, 이는 COVID-19에도 불구하고 2019년에 비해 8.8% 증가한 수치입니다.

• 2020년에 870만 명이 HIV 예방 서비스에 도달했습니다.

• 2020년에 470만 명이 결핵 치료를 받았습니다.

• 2020년에 결핵 환자와 접촉한 194,000명의 어린이가 예방 치료를 받았습니다.

• 말라리아로부터 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배포된 모기장 1억 8,800만 개는 COVID-19에도 불구하고 2019년에 비해 17% 증가한 수치입니다.


“글로벌펀드 파트너십은 계속해서 생명을 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전염병으로 인한 특별한 도전에 직면한 우리의 파트너십은 유연성과 결단력을 보이며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에게 의약품, 물품 및 치료를 제공했습니다. 우리가 지원하는 국가는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 만들어진 동일한 실험실, 질병 감시, 커뮤니티 네트워크, 훈련된 의료 종사자 및 공급망을 사용하여 코로나19에도 신속하게 대응했습니다.”라고 피터 샌즈 글로벌펀드 사무총장은 이야기 하였습니다.


2002년 창립 이래 글로벌펀드 파트너십은 4,400만 명의 생명을 구했습니다. 글로벌펀드가 투자하는 국가에서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로 인한 사망자 수는 46%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시행 정부, 다자 기관, 양자 파트너, 시민 사회 단체, 질병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 및 민간 부문을 포함하여 글로벌펀드 파트너십을 구성하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노력의 결과입니다.


피터 샌즈 글로벌펀드 사무총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끔찍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팬데믹은 우리에게 더 나은, 더 평등하고 건강한 세상을 건설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결론지었다. “우리는 함께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의 궤적을 바꾸었고 앞으로도 계속 싸워 나갈 것 입니다." 라고 밝혔습니다.


"그렇게 글로벌,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혁신과 협력을 계속한다면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를 종식시키고 코로나19를 물리치고 전염병 대비 및 대응을 위한 훨씬 더 강력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출처] 국제보건애드보커시 블로그(https://blog.naver.com/koreanagh/222499014657)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글로벌 펀드(이하 글로벌펀드)의 최근 보고서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기존 보건 및 질병 관리에 대한 대규모 중단 상황을 보여줍니다.


글로벌펀드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는 2020 년에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에 대한 보건 및 의료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을 크게 저해했습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창궐 상황 속에서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싸움을 지속해 가기 위해 로컬 보건·의료 시설(health facilities)에서 시도했던 방식들을 확대하는 한편 코로나19 대응에 필요한 주요 물품들의 공급을 늘리는 등 보건·의료 시스템 및 지역 사회 차원의 대응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20년 4월 부터 9월 사이에 아프리카와 아시아 32개국 502개 보건·의료 시설의 정보를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에 대한 보건·의료 서비스 중단 정도와 이에 대한 보건·의료 시설들의 대응들에 대한 스냅샷을 수집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글로벌펀드 최근 보고서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의 영향을 받은 국가들이 코로나19로 인해 받은 영향」 

** 이미지 클릭하여 원본 pdf 보고서 다운로드**


수집 된 주요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년도 동일 기간(2019년 4월~10월)과 비교, 2020년 4월부터 9월까지 

- 에이즈 검사: 41% 감소

- 결핵 의심 환자에게 진료 의뢰: 59% 감소

- 말라리아 진단: 31% 감소

- 산전 진료 방문: 43 % 감소


열악한 아프리카 코로나19 대응 환경 (24개국 보건·의료 시설 조사)


현장 조사에서 특히 아프리카에서 코로나19와 싸우는 데 

필요한 진단, 치료 기기 및 개인보호 장비가 매우 부족함을 확인


- 의료 종사자에게 충분한 필수 개인보호장비(PPE)를 보유한 보건·의료시설: 45%

-  코로나19 항원 신속 진단 테스트를 수행 가능한  보건·의료시설: 11%

-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CR) 테스트가 수행 가능한 보건·의료 시설: 8%



글로벌펀드 홈페이지에서 전체 내용을 확인 하세요.

https://www.theglobalfund.org/en/news/2021-04-13-new-global-fund-report-shows-massive-disruption-to-health-care-caused-by-covid-19-in-africa-and-asia/


[출처] 국제보건애드보커시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eanagh/222319940359)


High-Level Symposium on Korea’s Leadership on Global Health in the Covid-19 era and beyond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주소 입니다. https://youtu.be/iFCf4RZG7YA 






[응답하라 2019!!] 제1차 한-글로벌펀드 고위급 심포지엄: 국제말라리아와 결핵 퇴치를 위한 한국의 리더십


2019년 8월 『제1차 한-글로벌펀드 고위급 심포지엄: 국제 말라리아와 결핵 퇴치를 위한 한국의 리더십』이 개최되어 국내외 감염병 전문가와 국제기구·시민사회 대표들이 참석하여 한반도의 말라리아와 결핵 문제, 한국의 감염병 퇴치 분야 전문성과 혁신 그리고 아시아 및 아프리카지역 감염병 퇴치를 위한 한국의 기여 방안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습니다. 


2019년 제1차 고위급 심포지엄은 2030년까지 감염병을 퇴치하자는 국제사회의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달성에 대한 국내외 관심을 제고하고, 감염병 퇴치를 위한 남북 협력을 포함한 국제 보건 분야에서 우리의 선도적 역할과 기회에 대해 논의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출처] 국제보건애드보커시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eanagh/222290064130)



글로벌펀드(The Global Fund)에 대하여 들어보셨나요?


글로벌펀드는 에이즈, 결핵 및 말라리아 전염 종식을 위해 2002년 고안된 국제적 파트너십 입니다.

국제기구인 글로벌펀드는100여개국에서 그 지역의 전문가들이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지원하기 위해 연간 40억 달러 이상을 모금하고 투자하고 있습니다.

정부, 시민사회, 기술적 기관, 민간부문 그리고 질병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과 협력하여 혁신적인 방법으로 질병으로 야기된 장벽들에 맞서고 있습니다. 


국제보건애드보커시(KAGH)는 GFAN(Global Fund Advocacy Network) 및 GFAN AP(Global Fund Advocacy Network Asian Pacific)의 파트너 기관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https://www.theglobalfund.org/en/)


[출처] 국제보건애드보커시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reanagh/222273739338